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요리사에서 IT개발자로

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: 알아야 할 주요 개념 본문

AWS

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: 알아야 할 주요 개념

H.S-Backend 2024. 9. 26. 11:59

 

1. FTP (File Transfer Protocol)

  • TCP 20번 포트 (데이터 전송):
  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. 주로 대규모 파일이나 다수의 파일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때 사용됩니다.
  • TCP 21번 포트 (제어 채널):
    명령어 전송과 같은 제어 작업을 수행합니다. 사용자 인증, 파일 목록 요청 등 모든 제어 관련 데이터가 이 채널을 통해 전송됩니다.

2. SSH (Secure Shell)

  • TCP 22번 포트:
    보안된 원격 접근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.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원격 로그인, 파일 전송, 터널링 등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3. Telnet

  • TCP 23번 포트:
   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작업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 통신 프로토콜입니다. 하지만, 암호화되지 않아 보안에 매우 취약합니다.

4.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

  • TCP 25번 포트:
    이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. 주로 메일 서버 간의 이메일 전송이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메일을 보낼 때 사용됩니다.

5. DNS (Domain Name System)

  • TCP/UDP 53번 포트:
  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. 주로 UDP를 사용하며, 512바이트를 초과하는 데이터 전송 시나 주 영역에서 보조 영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TCP를 사용합니다.

6. HTTP & HTTPS

  • TCP 80번 포트 (HTTP):
   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며, 평문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보안 위험이 존재합니다.
  • TCP 443번 포트 (HTTPS):
    SSL/TLS로 암호화된 웹 통신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. 현대 웹사이트는 대부분 HTTPS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

7. POP3 & IMAP

  • TCP 110번 포트 (POP3):
    이메일을 다운로드하여 로컬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. 서버에서 메일이 삭제되기 때문에 다른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.
  • TCP 143번 포트 (IMAP):
    이메일을 서버에 남겨둔 상태에서 동기화합니다. 여러 장치에서 동일한 메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8. NetBIOS & SMB

  • TCP 139번 포트 (NetBIOS):
   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컴퓨터 간의 이름 해석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입니다.
  • TCP 445번 포트 (SMB/CIFS):
   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. 네트워크 리소스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, 보안상 취약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9. SMTPS, FTPS, TelnetS

  • TCP 465번 포트 (SMTPS):
    SSL/TLS를 이용해 보안을 강화한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. 이메일 전송 시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합니다.
  • TCP 990번 포트 (FTPS):
    SSL/TLS로 보호된 FTP로, 파일 전송 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.
  • TCP 992번 포트 (TelnetS):
    SSL/TLS로 보호된 Telnet 프로토콜입니다. 텍스트 기반의 원격 로그인 서비스인 Telnet의 보안 문제를 해결합니다.

10. Kerberos

  • TCP 88번 포트:
   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로토콜로, 주로 윈도우 도메인 환경에서 사용됩니다.

11. SNMP 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

  • TCP/UDP 161번 포트:
    SNMP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관리 트래픽을 수신하는 데 사용됩니다.
  • TCP/UDP 162번 포트:
    SNMP 트랩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됩니다. 네트워크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12. RDP (Remote Desktop Protocol)

  • TCP/UDP 3389번 포트:
    윈도우 시스템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사용됩니다.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

13. SIP (Session Initiation Protocol)

  • TCP 5060번 포트:
    음성 통화, 영상 통화 등의 세션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. 평문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.
  • TCP 5061번 포트:
    TLS로 암호화된 SIP 통신에 사용됩니다.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옵션입니다.
반응형